사랑방 | 남지중.여중 252동기회
since
남지중.여중 252동기회 남지중.여중 252동기회
홈 > 사랑방 > 사랑방

사랑방

본문

늘 꿈속에서만 그리던 아련한 유년시절의 기억에.....
진철숙       조회 : 990  2015.06.03 20:01:40

지난 53012일 동안 부곡 모 호텔에서 친정어머니 90(구순)회 생신을 가족과 가까운 친척 등 5

0여명이 모여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취지는 어머니의 8남매 중 아직 건강하게 생존해 계신 이모세분(85, 75, 73), 이모부 두 분을 위한 잔치였다.


전국에 흩어져 사는 어머니 형제들이 한 자리에 모여 언니, 동생하며 회포를 풀고 어린 시절을 상기 하

며 웃고 떠들고, 같이 노래 부르고 하는 일들이 어머니 생전에 마지막일 것이라는 판단과 또 누군가

아프게 되면 네 자매가 함께 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며, 가슴에 두 아들을 묻고 며느리와 함께

살면서 두문불출 형제도 친척도 만나지 않는 이모 한 분을 위해서 였다.


오빠들과 여러 번의 회의를 거쳐 진행 된 잔치는 다행히 거리를 마다하지 않고 찾아와서 함께해준 사촌, 육촌, 멀리 미국에서까지... 가슴 뭉클한 잔치였다.

언제나 그랬듯이 내역할은 어머니와 이모들의 수행 비서다.

 

스위트룸에 4자매와 바닥에 요를 깐 수행비서는 12시가 넘고 두시가 넘어서도 도통주무시지를 않고, 나도 알 수 없는 이야기들로 밤을 세 울 기세다.

내일 새벽에 밭 매러 갈 일 없으니 제발 새벽에 깨우지 말라고 수행비서가 요청했지만, 5시 반에 임무에 충실한 수행비서가 먼저 일어나 배고프다는 네 자매를 위해 과일 깎아 드리고 떡도 대령하고, 네 자매를 모시고 안개 낀 부곡관광특구의 새벽산책에 나섰다.


문득, 막내이모가 숙아! 우리 예전에 살 던 곳에 함 가 보까? 늘 부곡에 와도 생각만 있었지 거기를 한 번 못 가봤다.

동네가 그대로 있는지!” 하신다. “혹시? 이모! 학교가 좀 떨어져 있었고, 사택이 동네 안에 있었고, 집 앞에 동산이 있던 곳이 어디예요?

개울물도 있었던 것 같은데...”

여기 아이가! 거문리에!! 부곡국민학교! ” 하신다.

 

 

순간! 가슴이 철렁 내려앉는 느낌이었다.

50년을 훨씬 넘게 꿈속에서 찾아 헤매던, 아무리 생각해도 그곳이 어딘지 알 수 없었던 곳!

어제 일처럼 너무도 생생한 유년시절의 행복했던 추억과 가슴 아픈 기억들! 살아오면서 힘들고 지칠 때 마다 자연스레 떠오르던 그곳이 지척이라니!

내가 계성국민학교에서 태어났다고 했으니, 그 다음 아버지의 발령지가 부곡이니까 여기 어디일 것이라고 늘 추측만 했지 누구에게 물어볼 생각을 하지 못했다.


당시 아버지는 일본 오사카 대학에서 유학을 마치고 20대초반에 한국에 돌아와 32세에 교감이 되었고, 내 기억에 우리는 늘 학교 사택에 살았었다.


그 시절은 한국 전쟁 후 라 외원(외국원조)이 많았던 시절이었다. 아버지가 초콜릿, , ‘말표 구두약

통처럼 생긴 납작한 깡통에 든(지금생각하면 쨈, 버터, 치즈 같은 것)것들을 가져와서 자고 있는 나를

깨워서 입에 물리고, 잠투정하는 나를 달래는 엄마랑 아버지가 다투던 기억! 분유를 물에 찐하게 타서

밥 위에 쪄서 딱딱하게 굳혀 간식으로 먹던 기억!

오빠들이랑 앞동산에서 토끼먹일 풀 베다가 낫에 찍 힌 내 발등에 난, 아직도 선명한 흉터를 볼 때마다 생각나던 그곳! 외동딸을 너무나 사랑한 아버지가 학 교 내에 하얀 타일이 박힌 일본식 목욕탕에 데리고 갔던 일, 반짝이는 하얀 타일에 매료 되었던 일, 당시 막내이모는 우리 집에서 함께 살고 있었다.

훤칠하게 잘 생기고 공부 많이 한 엘리트 형부와 큰언 니가 마냥 좋았기도 했지만, 한국전쟁 당시 지식인이라 하여 납북 되었던 아버지가 귀신의 몰골로 돌아 온 후 결핵을 앓아, 우리 집 마당 기슭의 가마솥에는 늘 뱀탕 아니면 개를 삶았다고 한다. 어머니는 아 버지의 병수발에 매달리고 이모가 우리 6남매를 키웠다.

 

마침 둘째 아들이 호텔 앞에 세워둔 차 앞에서 잠에 취해 반 쯤 눈을 감고 얼쩡 거리 길래 아들과 할머

니 네 분 모시고 그 곳을 찾아갔다.

부곡초등학교는 신식 2층 건물로 변해 있었고, 그 주위에 아파트도 생겼다. 밥만 먹으면 올라가 뛰놀던 앞동산은 잔디와 풀만 가득한 민둥산 이었는데 수풀로 우거져 있 , 동네는 이미 옛 자취는 없어지고 멋진 양옥들이 들어서 있었다.


동네 어귀에 차를 세울 때부터 부지 런한 동네 어른들이 우리를 주시하더니 하나 둘 우리주위로 몰려왔다. 이모와 나는 우리집을 찾기 시작 했다.


이모는 어느 골목으로 들어서더니 이 골목인 것 같다아니야 이모! 내 기억에는 골목이 이 렇게 넓지도 않았고, 우리집은 두 번째 집인 것 같은데?”

 

나와 이모는 다음골목 그 다음골목으로 흔적 을 찾아 올라갔다. !~~~ 그런데 너무도 충격적인 광경이 내 눈앞에 펼쳐졌다. 이모~~ 여기야!

나는 외마디 비명을 질렀다.

세 살에서 다섯 살 까지 살았던 그 집이 폐가가 되어 그대로 있지 않은가?

 

통시, 곳간, 토끼를 키우던 곳, 가마솥 걸어 두던 곳, 본체, 정말 믿을 수 없는 일이....

어머니는 아무 말이 없 , 이모는 그저 펑펑 눈물을 쏟았다. 화롯불에 통마늘과 밤을 구워주시던 인자한 아버지의 모습, 빨래 줄에 걸린 하얀 이불 호청 사이로 작은오빠와 숨바꼭질하다 작대기는 내가 넘어뜨렸는데 오빠만 혼나 던 일들, 그 집은 다시 유년시절로 돌아가 곳곳에서 이야기들이 툭! ! 튀어나오고 있었다.


막내이모는 밭으로 변해버린 마당 안으로 깊숙이 들어가 무언가를 찾아내려는 듯 중얼거린다.

이곳은 가슴 아픈 사연이 너무 많아~~”

 

그러는 사이 온 동네 어르신이 다 모인 것 같다.

묻지도 않았는데 막내이모는 우리가 여기 살았어요” “ ~는 교감 사택인데?” “우리언니가 그 교감 사모님 중에 한 사람이에요 침 그 중에 어머니를 알아보는 사람이 있었다.


이모는 계속 눈물을 훔치며, “ 숙아! 사진 찍어서 나한테 좀 보내주라 글 하나 써야겠다.” 서울서 수필가로 활동하시는 막내 이모의 나지막하고 단호한 목소 !!!

 


어느 화창한 가을날 오후! 나는 누군가와 그 동산에 올라 앉아 머~언 신작로를 바라보고 있었고, 아득

하게 먼 곳에서 하얀 상복과 두건을 쓰고, 한 손에는 빗자루를 든 큰오빠가 누군가와 함께 점점 다가오

고 있었다.    ㅠ.ㅠ



comment : (7)
김홍돌 15-06-04 08:24
진철숙 친구님!
부곡 거문리는 선산이 있는 나의 원적지이기도 합니다.
글이란 마음이 담긴 그릇이겠지요.
“유년시절로 돌아가 곳곳에서 이야기들이 툭! 툭! 튀어나오고 있었다.”라는
표현이 참 좋습니다.
시골에서 성장기를 보냈던
그 유년기의 추억을 찾아가는 좋은 글
한 편의 흑백영화처럼 잘 보았습니다.
어르신들의 만수무강을 축원합니다.
진철숙 15-06-05 10:38
감사합니다. 김홍돌님!! 칭찬인것 같아서 몸들바를 모르겠습니다. 시간이 더 흘러가 버리기 전에 써야 될 것 같아서 ... 대충 써 놓고도 이곳에 올려도 될지 고민했습니다.내얘기든 누구의 이야기든 글을 써서 올린다는것은 참 조심스러운 일이더군요. 그래서 공감이 가는 글들을 퍼 나르는 것에는 부담을 덜 느끼지 않을까? 하는 망~구 제 생각입니다. 그래도 우리 동창생들은 흉허물을 다 이해하고 덮어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수무강 까지 빌어주시니 더더욱 고맙습니다. 만나 뵌적은 없는 것 같은데 기회가 되면, 맛있는 밥, 대접해 드리고 싶습니다.
김홍돌 15-06-05 14:17
저렇게 따뜻한 마음을 실행에 옮기고 이렇게 편안하게 읽을 수 있도록 쓰기까지 얼마나 수고가 많았을까를 생각합니다. 오늘날 우리 사회는 가치관이 흔들리며 윤리와 미덕이 깨어지는 현상이 비일비재하지 않습니까? 글 속에 드러난 구체적인 이야기의 따뜻한 마음들이 은은한 이미지로 감동을 유발하고 있습니다. 진철숙 친구님! 다시 한 번 좋은 글과 고운 댓글에 감사드립니다.
진철숙 15-06-06 09:03
부족한 글 꼼꼼하게 읽어주시고 ... 부끄럽게도, 망설이는 내게 총무님이 용기를 주셨지요. 다듬을 시간이 없어 글과 사진만 몇 장 바람에 날려 보냈는데, 잘 주워 모아서 이렇게 편집까지 잘 해 주셨네요. 초반부터 오자 났다고 지적질? 까지 해주면서...ㅎㅎ
이 글을 읽을 때 마다 나도 모르게 소리없는 뜨거운 무언가가 가슴골까지 타고 흘러....멍~~~~
오양환 15-06-05 12:19
이런글을 읽을 수 있음에 감사합니다. 누구나 가슴에 담고 있는 세월을 자의던 타의던 지니고 잇을진데..
이런글을 쓰고 이런글을 읽을 수 있는 지금이 행복합니다.
진철숙 15-06-05 12:36
총무님!! 이러시면 재미들려서 2탄, 3탄...... 자꾸 써면 우짤라꼬~~~아무튼 여러모로 감사하고요. 수고하시는 총무님!! 말대가리 아저씨 콘서트 보여주고 싶은데 .... 태산 잘 댕겨 오시고, 다음기회에. . .
이진중 15-06-07 08:55
홈피 생긴 유사이래 이렇게 좋은 글을 올린 것은 철숙이가 처음이네.
누구나 살아 온 발자취를 더듬고 싶은 욕망은 있지만 거슬러 올라가 실천으로 옮기기가 바쁜 현실에서
어려움도 많기에 다 못하지.
구순잔치를 맞이하여 수행비서 역활 확실히 했구나.

그래서 나도 지난 목요일에 마산에 있는 여고 교정을 친구랑 거닐다 왔단다.
3년간 오르내렸던 완월동의 아담한 우리의 꿈을 키웠던 우리들의 동산이었지.
몇십년만의 방문이 쎄라복의 이쁜 미소가 생각나고 추억들이 주마등처럼 스쳐지나가더라.
밤 10시까지의 야간 학습까지 하던 고3때에 호수 앞에서 퉁퉁 부은 다리를 내놓고 찍었던 사진도 그대로인데...
성모상 앞에서 성호를 긋고 잠시 기도하고 왔다.
아들과 우리 252친구들의 안녕을...
추억은 참 아름답기에 다시 더듬기도 하나 봐.
철숙아.
지난 목요일 성산 아트 홀에서 많이 반가웠고 이렇게 홈피에서도 자주 보자.
휴일 잘 보내고.. ^^*





  Total : 159 (쪽번호 2/2)
번호 제            목 글쓴이 날짜 조회
59 [시] 혼자 사는 연습 - 白民 이학주 [2] 진철숙 2015.08.25 636
58 하중도 [7]   정문기 2015.08.24 702
57    우리집 뜰에 핀 꽃... [6]   최성기 2015.08.24 541
56 출근길 [6]   진철숙 2015.08.20 904
55 지금이 행복합니다. [2]   오양환 2015.08.16 568
54 인생의 빛과 어둠이 녹아든 나이 [1] 황오규 2015.08.07 434
53 2015년 장애-비장애 여름 통합캠프 -지적장애인협회 창원시… [1]   진철숙 2015.08.06 824
52 인간관계 법칙 [1] 황오규 2015.07.27 387
51 [걷기여행] 제주의 여름 [1]   오양환 2015.07.27 458
50 [진철숙] 개망초 속에 고히 간직되어 있는 아름다운 추억… [6]   진철숙 2015.07.20 923
49 지금 누구랑 함께 있는가~♡ [1] 이진중 2015.07.10 509
48 [진철숙] 발달장애인협회 아이들의 도예체험 모습입니다. (2… [4]   진철숙 2015.07.09 714
47 지금이 행복합니다! [1] 오양환 2015.07.08 411
46 7월에 꿈꾸는 사랑 이채 / 시인 [1] 진철숙 2015.07.03 755
45 공영교가 대성 다리인 줄 알고서/ 구임식 [5] 김홍돌 2015.06.29 1211
44 [진철숙] 열정 파워감염자 좋은 친구입니다. [1]   사무국 2015.06.25 594
43 잔잔하게 흐르는 시냇물 같은 친구... [1] 이진중 2015.06.23 533
42 약해지지마/시바타 도요(일본) [4]   조현욱 2015.06.15 717
41 [걷기여행] 제주 용눈이 오름 [2] 오양환 2015.06.15 751
40 사제간의 동문서답 [1] 황오규 2015.06.04 414
39 늘 꿈속에서만 그리던 아련한 유년시절의 기억에.....… [7]   진철숙 2015.06.03 991
38 서로 진심으로 좋아하면... [1] 황오규 2015.05.31 476
37 노랫말이 너무 좋은 노사연의 새노래 - 바램 [1] 조현욱 2015.05.20 739
36 엄밀한 의미에서 잡초는 없다 [2] 오양환 2015.05.15 635
35 꿈에 미친 사람들 [1] 황오규 2015.05.11 687
34 푸른봄 의 젓가슴 황오규 2015.05.08 711
33 父母님 前 上書 [2] 황오규 2015.05.07 390
32 오월이 오면 [2] 황오규 2015.04.29 474
31 화왕산 참꽃 [9] 김홍돌 2015.04.29 760
30 나로부터의 시작 [1] 황오규 2015.04.28 373
29 낯가리는 사람의 대화법 [1] 황오규 2015.04.24 576
28 영원한 스승님과 문학2(정호원 선생님)/김현우… [8] 김홍돌 2015.04.24 888
27 영원한 스승님과 문학(정호원 선생님)/김현우… [7]   김홍돌 2015.04.22 1561
26 가난 속의 안식 [1] 황오규 2015.04.21 545
25 즐거운 휴일들돼세요 [1] 황오규 2015.04.19 330
24 화합한마당 [2]   오양환 2015.04.17 383
23 경남 지적장애인 체육대회 [1]   진철숙 2015.04.17 476
22 우리나라 정치인.공무원의 11계명 황오규 2015.04.17 424
21 나 자신 격려하기 - 자기 선언문법 [2] 황오규 2015.04.16 708
20 참고 살아요 [1] 황오규 2015.04.15 398
19 사회복지법인 가람 소개 -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위드에이블… [1]   오양환 2015.04.13 2000
18 우리에게 있어야 할 벗!! [2] 황오규 2015.04.13 611
17 늘 보고 싶게 만든 그대는 누구십니까 황오규 2015.04.11 422
16 ◆ 연필 같은 사람이 되라 ◆ 황오규 2015.04.10 457
15 현을 만난 가곡과 아리아의 밤   오양환 2015.04.10 409
14 영남들 농로를 걸어봐요 [5]   김홍돌 2015.04.10 1040
13 특별한 존재 황오규 2015.04.09 465
12 교무수첩 - 플루트 소리 [3]   김홍돌 2015.04.09 927
11 [축제] 봄꽃 축제를 즐기자 오양환 2015.04.08 798
10 이 운동 하나로 모든 병을 고친다 강선호 2015.04.08 535
9 봄 같은 사람 황오규 2015.04.08 465
8 삶은 새로운 것을 받아들일 때만 발전한다. 황오규 2015.04.08 418
7 사람이 살아가면서 [2] 황오규 2015.04.06 450
6 [공연] 미국 션윈예술단 국내 공연   오양환 2015.04.06 635
5 강선호주소변경 [1] 강선호 2015.04.03 769
4 중년의 낭만과 사랑 [1] 황오규 2015.04.04 605
3 봄비 오는 소리에 / 이 보 숙 [1] 황오규 2015.03.31 600
2 재미있는 판결입니다 [3] 황규대 2015.03.26 450
1 모험을 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모험이다 [1]   오양환 2015.03.26 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