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지중.여중 252 동기회
SITEMAP
HOME
새글보기
등교하기
252동기회
252동기
사진첩
사랑방
초석(위원회)
회장인사글
회칙
연혁
조직도
모교소개
동기&고향동향
동기명부
동기모습
동기사업장
회비및찬조
입출금
경조사
행사사진첩
활동사진첩
추억사진첩
새소식
한줄톡
베스트한줄톡
사랑방
동기전용사랑방
새글보기
초석(위원회)
명함
사랑방
Support
새소식
한줄톡(Talk)
베스트한줄톡(Talk)
사랑방
동기전용사랑방
새글보기
활동 TOP10+5
+전체보기
1. 김홍돌
2,237
2. 오양환
1,716
3. 김영현
811
4. 이진중
793
5. 정문기
603
6. 최성기
514
7. 황오규
213
8. 진철숙
143
9. 신정해
72
10. 김호철
70
11. 조현욱
56
12. 성낙석
45
13. 김영희
44
14. ZMskyuza
36
15. 박점득
34
오늘 방문하신 분
이름 - 횟수
출석부(209명)
- 1159
- 987
- 803
- 758
- 710
- 392
- 380
- 353
- 302
- 263
- 207
- 200
- 197
- 187
- 186
- 179
- 177
- 160
- 118
- 107
- 104
- 86
- 84
- 71
- 71
- 69
- 67
- 64
- 61
- 52
- 43
- 38
- 37
- 34
- 28
- 27
- 25
- 24
- 24
- 23
- 23
- 22
- 20
- 18
- 17
- 16
- 13
- 12
- 11
- 9
- 9
- 8
- 8
- 7
- 6
- 6
- 6
- 6
- 5
- 5
- 5
- 4
- 4
- 4
- 4
- 4
- 4
- 4
- 4
- 4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2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392
- 8
- 4
- 4
- 3
- 2
- 2
- 2
- 2
- 2
- 2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 1
홈 > 사랑방 >
한줄톡
한줄톡
본문
♣ 작성자에
본인이름
을 적고, 비밀번호에
숫자
를 적고(자리수관계없고 기억필요),
내용
을 적고,
등록 버턴을 클릭
하면
끝!!
편리한 방법:
등교하기를 하고나면 작성자명, 비밀번호 필요없음!
검색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내용 또는 작성자명으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
내용
작성자
작성자
비밀번호
◀ 이 버턴을 클릭하여 사진 한장을 올릴 수 있습니다! 아래에 첨부된 사진은 클릭하면 크집니다!
김영현
2021-11-08 15:19:20
답변
수정
삭제
반대로 우리들 삶의 언어를 좀 더 시적으로
하면 어떨까?
반대로 우리들 삶의 언어를 좀 더 시적으로 하면 어떨까?
작성자
비밀번호
반대로 우리들 삶의 언어를 좀 더 시적으로 하면 어떨까?
김영현
2021-11-08 15:17:38
답변
수정
삭제
하지만 그 시의 언어들을 풀어 보려고
애를 쓰는 과정에서 애초의 만족감이
손상되고 있음을 알지 못한다.
하지만 그 시의 언어들을 풀어 보려고 애를 쓰는 과정에서 애초의 만족감이 손상되고 있음을 알지 못한다.
작성자
비밀번호
하지만 그 시의 언어들을 풀어 보려고 애를 쓰는 과정에서 애초의 만족감이 손상되고 있음을 알지 못한다.
김영현
2021-11-08 15:16:15
답변
수정
삭제
마음에 쏙 드는 시를 발견했을 때 느끼는 만족감이란
여간 큼 것이 아니다.
마음에 쏙 드는 시를 발견했을 때 느끼는 만족감이란 여간 큼 것이 아니다.
작성자
비밀번호
마음에 쏙 드는 시를 발견했을 때 느끼는 만족감이란 여간 큼 것이 아니다.
김영현
2021-11-08 15:14:42
답변
수정
삭제
시의 언어
시의 언어
작성자
비밀번호
시의 언어
김영현
2021-11-08 15:12:25
답변
수정
삭제
길 위에 선 나그네
인생을 노래하네.
길 위에 선 나그네 인생을 노래하네.
작성자
비밀번호
길 위에 선 나그네 인생을 노래하네.
김영현
2021-11-08 15:11:44
답변
수정
삭제
나의 눈물 되어 채워주던 빈 잔에
너의 사랑 담고 너의 위로 담아
나의 눈물 되어 채워주던 빈 잔에 너의 사랑 담고 너의 위로 담아
작성자
비밀번호
나의 눈물 되어 채워주던 빈 잔에 너의 사랑 담고 너의 위로 담아
김영현
2021-11-08 15:10:39
답변
수정
삭제
서러움을 빚어내던
너의 찬가 부르며
서러움을 빚어내던 너의 찬가 부르며
작성자
비밀번호
서러움을 빚어내던 너의 찬가 부르며
김영현
2021-11-08 15:09:53
답변
수정
삭제
텁텁한 막걸리 나를 반길 때
한 항아리 몽땅 담아
텁텁한 막걸리 나를 반길 때 한 항아리 몽땅 담아
작성자
비밀번호
텁텁한 막걸리 나를 반길 때 한 항아리 몽땅 담아
김영현
2021-11-08 15:08:59
답변
수정
삭제
회한을 안고
회한을 안고
작성자
비밀번호
회한을 안고
김영현
2021-11-08 15:08:45
답변
수정
삭제
한잔 술의 회포
한잔 술의 회포
작성자
비밀번호
한잔 술의 회포
김영현
2021-11-08 15:08:25
답변
수정
삭제
고독이 몸부림하고
서러움이 비틀거릴 때
고독이 몸부림하고 서러움이 비틀거릴 때
작성자
비밀번호
고독이 몸부림하고 서러움이 비틀거릴 때
김영현
2021-11-08 15:07:34
답변
수정
삭제
막걸리
노승한
막걸리 노승한
작성자
비밀번호
막걸리 노승한
김영현
2021-11-08 15:06:51
답변
수정
삭제
스스로는 땅 위에 굴복한다.
스스로는 땅 위에 굴복한다.
작성자
비밀번호
스스로는 땅 위에 굴복한다.
김영현
2021-11-08 15:06:20
답변
수정
삭제
아침이면,
어둠은 온갖 물상을 돌려주지만
아침이면, 어둠은 온갖 물상을 돌려주지만
작성자
비밀번호
아침이면, 어둠은 온갖 물상을 돌려주지만
김영현
2021-11-08 15:05:37
답변
수정
삭제
어둠은 새를 낳고, 돌을
낳고, 꽃을 낳는다.
어둠은 새를 낳고, 돌을 낳고, 꽃을 낳는다.
작성자
비밀번호
어둠은 새를 낳고, 돌을 낳고, 꽃을 낳는다.
김영현
2021-11-08 15:04:37
답변
수정
삭제
아침 이미지
박남수
아침 이미지 박남수
작성자
비밀번호
아침 이미지 박남수
김영현
2021-11-08 15:01:01
답변
수정
삭제
다시 한 번 가다듬자.
다시 한 번 가다듬자.
작성자
비밀번호
다시 한 번 가다듬자.
김영현
2021-11-08 15:00:41
답변
수정
삭제
여행을 하여 견문을 넓히자.
여행을 하여 견문을 넓히자.
작성자
비밀번호
여행을 하여 견문을 넓히자.
김영현
2021-11-08 15:00:02
답변
수정
삭제
인생을, 삶을 글로 표현하고
끊임없는 퇴고를 한다.
인생을, 삶을 글로 표현하고 끊임없는 퇴고를 한다.
작성자
비밀번호
인생을, 삶을 글로 표현하고 끊임없는 퇴고를 한다.
김영현
2021-11-08 14:59:06
답변
수정
삭제
다양한 분야의 책과 신문을 많이 읽자.
다양한 분야의 책과 신문을 많이 읽자.
작성자
비밀번호
다양한 분야의 책과 신문을 많이 읽자.
김영현
2021-11-08 14:58:21
답변
수정
삭제
매일 일기를 쓰고, 메모하는 습관을 갖자.
매일 일기를 쓰고, 메모하는 습관을 갖자.
작성자
비밀번호
매일 일기를 쓰고, 메모하는 습관을 갖자.
김영현
2021-11-08 14:57:33
답변
수정
삭제
모든 일에 호기심을 갖고
상상력을 키우자.
모든 일에 호기심을 갖고 상상력을 키우자.
작성자
비밀번호
모든 일에 호기심을 갖고 상상력을 키우자.
김영현
2021-11-08 14:56:53
답변
수정
삭제
여운이 남도록 압축해서 쓴다.
여운이 남도록 압축해서 쓴다.
작성자
비밀번호
여운이 남도록 압축해서 쓴다.
김영현
2021-11-08 14:56:19
답변
수정
삭제
자기 과시나 자랑은 피한다.
자기 과시나 자랑은 피한다.
작성자
비밀번호
자기 과시나 자랑은 피한다.
김영현
2021-11-08 14:55:57
답변
수정
삭제
짧은 글부터 써보자.
짧은 글부터 써보자.
작성자
비밀번호
짧은 글부터 써보자.
김영현
2021-11-08 14:55:09
답변
수정
삭제
쓸데없는 수사나 기교를 줄이고 줄인다.
(과도한 화장은 혐오감을 준다)
쓸데없는 수사나 기교를 줄이고 줄인다. (과도한 화장은 혐오감을 준다)
작성자
비밀번호
쓸데없는 수사나 기교를 줄이고 줄인다. (과도한 화장은 혐오감을 준다)
김영현
2021-11-08 14:53:57
답변
수정
삭제
국어사전을 자주 애용하자.
국어사전을 자주 애용하자.
작성자
비밀번호
국어사전을 자주 애용하자.
김영현
2021-11-08 14:53:25
답변
수정
삭제
시를 잘 쓰기 위하여
시를 잘 쓰기 위하여
작성자
비밀번호
시를 잘 쓰기 위하여
김영현
2021-11-08 14:52:35
답변
수정
삭제
개성을 필요로 하는 문학이다.
개성을 필요로 하는 문학이다.
작성자
비밀번호
개성을 필요로 하는 문학이다.
김영현
2021-11-08 14:49:40
답변
수정
삭제
사실을 통하여 진실을 말하는 글이다.
사실을 통하여 진실을 말하는 글이다.
작성자
비밀번호
사실을 통하여 진실을 말하는 글이다.
김영현
2021-11-08 14:49:14
답변
수정
삭제
자기 고백의 문학이다.
자기 고백의 문학이다.
작성자
비밀번호
자기 고백의 문학이다.
김영현
2021-11-08 14:48:53
답변
수정
삭제
수필이란?
형식이 없는 무형식의 글이다.
수필이란? 형식이 없는 무형식의 글이다.
작성자
비밀번호
수필이란? 형식이 없는 무형식의 글이다.
김영현
2021-11-08 14:47:33
답변
수정
삭제
하늘엔 별, 땅에는 꽃, 사람에겐
시가 있어야 아름답다.(괴테)
하늘엔 별, 땅에는 꽃, 사람에겐 시가 있어야 아름답다.(괴테)
작성자
비밀번호
하늘엔 별, 땅에는 꽃, 사람에겐 시가 있어야 아름답다.(괴테)
김영현
2021-11-08 14:46:28
답변
수정
삭제
시는 언어의 건축이다. (김기림)
시는 언어의 건축이다. (김기림)
작성자
비밀번호
시는 언어의 건축이다. (김기림)
김영현
2021-11-08 14:45:51
답변
수정
삭제
그림은 말 없는 시요,
시는 말하는 그림이다.
그림은 말 없는 시요, 시는 말하는 그림이다.
작성자
비밀번호
그림은 말 없는 시요, 시는 말하는 그림이다.
김영현
2021-11-08 14:45:12
답변
수정
삭제
시는 일그러진 사실을
아름답게 만드는 거울이다.(셀리)
시는 일그러진 사실을 아름답게 만드는 거울이다.(셀리)
작성자
비밀번호
시는 일그러진 사실을 아름답게 만드는 거울이다.(셀리)
김영현
2021-11-08 14:44:17
답변
수정
삭제
시는 상상과 정열의 언어이다.
시는 상상과 정열의 언어이다.
작성자
비밀번호
시는 상상과 정열의 언어이다.
김영현
2021-11-08 14:43:52
답변
수정
삭제
시 삼백편을 읽으면 마음에 사악함이 없어진다. (공자)
시 삼백편을 읽으면 마음에 사악함이 없어진다. (공자)
작성자
비밀번호
시 삼백편을 읽으면 마음에 사악함이 없어진다. (공자)
김영현
2021-11-08 14:43:05
답변
수정
삭제
시에 관한 명구
시에 관한 명구
작성자
비밀번호
시에 관한 명구
김영현
2021-11-08 14:42:31
답변
수정
삭제
자신의 직 간접 체험을 바탕으로 사상과 감정,
상상력을 마음 껏 펼치되,
언어를 수단으로 하여 표현하는 언어 예술이다.
자신의 직 간접 체험을 바탕으로 사상과 감정, 상상력을 마음 껏 펼치되, 언어를 수단으로 하여 표현하는 언어 예술이다.
작성자
비밀번호
자신의 직 간접 체험을 바탕으로 사상과 감정, 상상력을 마음 껏 펼치되, 언어를 수단으로 하여 표현하는 언어 예술이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